- "검색 결과가 없습니다." 와 검색결과가 있어도 "대량생산화학물질" 에만 체크되어 있는 경우에는 "신규화학물질"로 판단하시면 됩니다.(※ 대량생산화학물질 이란 우리나라 기준이 아닌 전세계에서 천톤 이상 생산,수입되는 화학물질임)
- 다만, 유독물질의 염류(salts)나 중금속 화합물은 개별 물질에 따라 유독물질 검색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고시내용을 고려하여 정확한 규제정보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.
- 검색결과 유해화학물질은 유독, 허가, 금지, 제한물질을 말하며, 고유번호 가운데 숫자(연도표기 다음)는 1=유독물질, 4=금지물질, 5=제한물질입니다.
- ‘중점관리물질’은 환경부 고시 「중점관리물질의 지정」에 따른 화학물질이며 <별표1>은 ’19.7.1.시행, <별표2>는 ’21.7.1.시행입니다.
- ‘암‧돌연변이성 물질’은 환경부고시 「2021년까지 등록하여야 할 돌연변이, 생식능력 이상을 일으키거나 일으킬 우려가 있는 기존화학물질」을 말하며, 해당 화학물질의 수화물도 등록대상에 해당함.
- 검색물질이 "수화물"인 경우 수화물을 제외한 물질이 유독물질이면 수화물질도 유독물질이고, 기존화학물질에 있으면 신규화학물질이 아닙니다.
- ‘비고’란에 ‘등록유예기간 없음’으로 표시된 물질은 2015.7월 고시된 ‘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’이며 그 수화물‧무수화물도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에 포함됨.
- "유독물질등 혼합물질 함량 및 규제정보"를 클릭하면 유독물질,허가물질,제한·금지물질의 제품내 규제함량 및 규제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고유번호란의 사고대비물질에 체크되어 있는 경우,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(http://kischem.nier.go.kr)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
※ 화학물질검색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참고 목적으로만 이용하시고,
어떠한 경우에도 제공되는 내용으로 인한 민·형사상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