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 > 환경과 건강 > 노출 경로 > 환경 모니터링

환경 모니터링

환경 모니터링 필요성

수은은 환경 중에서 잔류성, 장거리 이동성, 독성이 있는 물질로 수은 중독에 의한 미나마타병의 발생 원인이 된다. 그러므로 환경 중 수은의 농도 수준을 파악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.

국내 환경 모니터링 현황

매체별로 환경 측정망 운영 중 : 환경부(대기‧수질‧퇴적물‧토양), 해양수산부(해양)
환경부
  • 대기(에어코리아 : http://www.airkorea.or.kr)
    [표]국가대기오염측정망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국가대기오염측정망
    목적 대기오염 실태를 상시 파악하여 대기보전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
    개요
    • 대기오염 실태 파악 및 대기보전정책의 추진성과 평가를 위해 1973년부터 대기오염 측정망을 설치·운영
    • 전국 대기오염측정망의 측정자료를 수집·관리하고 대기오염도 실시간공개시스템(Airkorea)을 통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상태를 국민들에게 수치 및 등급으로 제공
    환경기준 기준 없음
  • 수질(물환경정보시스템 : http://water.nier.go.kr)
    [표]수질 측정망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수질 측정망
    목적 하천·호소 등 공공수역의 수질 및 수생태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운영하는 물환경측정망의 설치, 운영,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정함
    개요 가. 수질측정망
    • 하천·호소 등 공공수역에 대한 수질현황 및 추세파악
    •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
    나. 총량측정망
    • 오염총량관리 시행지역의 수질현황 및 수질오염총량제 이행사항 평가
    • 단위유역의 수질, 유량 등 수질오염물질의 총량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
    다. 자동측정망
    • 수질오염사고 시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한 수질감시경보 체계 운영
    • 수질예보제 운영 지원 등 일반측정망의 보완적 기능
    라. 퇴적물측정망
    • 퇴적물의 환경질(Sediment Quality) 현황 조사 및 평가
    • 퇴적물이 수질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
    환경기준
    (수은)
    불검출
  • 토양(토양지하수정보시스템 : http://sgis.nier.go.kr)
    [표]토양 측정망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토양 측정망
    목적 전국적인 토양 오염추세를 파악하여 토양오염예방 등 토양보전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
    개요 항만, 하천영향 및 반폐쇄성만, 연안의 각 정점에 대한 해수, 해저퇴적물, 해양생물 조사
    환경기준
    (수은)
    구분 1지역 2지역 3지역
    토양오염대책기준(mg/kg) 12 30 60
    토양오염우려기준 4 10 20

    * 토양오염대책기준 : 오염의 정도가 사람의 건강과 동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토지의 이용중지,
      시설의 설치금지 등 규제조치가 필요한 정도의 오염상태
    * 토양오염우려기준 : 대책기준의 약 40%정도로 더 이상의 오염이 심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오염수준

해양수산부
  • 해양환경측정망(국가해양환경정보시스템 : http://www.meis.go.kr)
    [표]해양환경측정망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해양환경측정망
    목적 우리나라 연안 및 근해역의 해양환경 상태와 오염원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해양환경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해양환경관리 및 보전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본자료 생산
    개요 항만, 하천영향 및 반폐쇄성만, 연안의 각 정점에 대한 해수, 해저퇴적물, 해양생물 조사
    환경기준
    해양생태계 보호 기준(㎍/L)
    • 단기기준 : 1.8
    • 장기기준 : 1.0

    * 단기기준 : 1회성 관측값과 비교 적용
    ** 장기기준 : 연간평균값 (최소 사계절 조사 자료)과 비교 적용

   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(mg/L) 0.0005
    해저퇴적물(mg/kg)
    • 주의기준(TEL) : 0.11
    • 관리기준(PEL) : 0.62

    (1) 주의기준 (Threshold Effects Level, TEL):
        부정적인 생태 영향이 일부 발현될 개연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농도
    (2) 관리기준 (Probable Effects Level, PEL):
        부정적인 생태영향이 발현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농도

  • 어장환경모니터링(국립수산과학원 : http://www.nifs.go.kr/femo)
    [표]어장환경모니터링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어장환경모니터링
    목적
    • 전국 연안 및 주요 양식어장 주변 해역의 정기적 조사를 통하여 해양환경 현황을 파악하고, 양식어장의 지속적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환경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
    • 수산자원 보호구역의 정기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산자원의 보호 및 육성을 위한 수산자원보호구역 관리에 관한 종합적인 환경관리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
    개요 양식어장의 환경을 정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어장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속적인 친환경
    양식 산업을 유도할 수 있는 과학적인 어장관리방안 수립

국외 환경 모니터링 현황

미국
  • 미국은 국가 대기침적 프로그램(National Atmospheric Deposition Program, NADP)의 일환으로 수은 침적 네트워크(Mercury Deposition Network, MDN)와 대기 수은 네트워크(Atmospheric Mercury Network, AMNet)를 포함시켜 운영중
    [표]NADP목적 및 개요
    구분 NADP(National Atmospheric Deposition Program)
    목적 대기오염물질의 습성 침적 모니터링을 통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연합 네트워크 구축
    개요
    • MDN : 미국과 캐나다를 포함한 약 110개 사이트에서 수은의 습성 침적량 측정
    • AMNet : 24개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으며, 대기 중 종별 수은농도를 자동연속측정법으로 측정하고 있음
캐나다
  • 캐나다는 1994년 부터 대기 수은 측정 네트워크(Canadian Atmospheric Mercury Measurement Network, CAMNet)를
    운영 중
    [표]캐나다 대기 수은 측정 네트워크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CAMNet(Canadian Atmospheric Mercury Measurement Network)
    목적 환경에 배출된 수은의 대기 중 이동, 변환, 제거과정을 이해하고, 대기 및 강우에서 수은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며, 대기 중 수은 배출의 주 오염원 확인
    개요
    • 1994년부터 11개 지점을 운영 중이며, 대기 중 총수은의 농도와 습성 침적량이 측정됨
    • 자동연속측정법-냉증기형광광도법을 표준방법으로 채택
일본
  •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상시 감시 측정망 운영을 통해 대기 중 수은에 대한 상시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,
    일반 환경에서 약 200개소, 발생원 주변에서 57개소, 자동차 도로변에서 약 45개소 등 총 302개소가 운영 중
유럽
  • 2010년부터 수은의 장거리 이동성을 고려하여 국가 간 대기 수은의 이동에 대한 GMOS(Global Mercury Observation System)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
    [표]유럽 GMOS 목적 및 개요
    구분 GMOS(Global Mercury Observation System)
    목적 수은에 대한 전 세계적 관측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
    개요
    • 미나마타 협약을 지원하기 위해 남·북반구의 대기 및 해양 생태계의 수은 농도를 비교할 수 있는 모니터링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 글로벌 관측 시스템
    • GMOS는 처음에 European Commission의 재정지원으로 운영되었다가 현재는 다양한 국가에서 자발적으로 모니터링 자료를 공유
출처
TOP